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리학실험

(5)
명상을 시작하는 방법 마음이 너무 힘들 때 우리 마음은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린다. 내 삶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계속 못 보게 하는 것이다. 보면 너무 대미지가 크기 때문이다. 명상은 자꾸 요리조리 내 집중을 빼앗는 것에서부터 빠져나와 나를 제대로 보는 작업이다. drishiti 요가 용어 중 드리시티라는 것이 있다. 응시점이란 뜻인데 주로 동작을 할 때 한 곳을 집중해서 볼 때 쓴다. 물론 눈을 감고 하는 동작도 있지만 대부분의 드리시티에는 공통점이 있다. (다른 사람을 보고 있으면) "나를 보세요" (거울로 자기 모습을 보고 있으면) "안을 보세요" (멍하게 있으면) "한 곳을 보세요" (뚫어지게 응시하고 있으면) "부드럽게 보세요" 타인을 보지 말고 나를 보라는 것은 모든 것의 기준을 내게 맞추라는 메시지이고 ..
잠이 부족하면 살찌는 이유 - 숙면과 비만의 상관관계 실험 숙면과 비만의 상관관계 실험 수면시간이 줄어들면 살이 찐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콜로라도대학교 케네스 라이트 교수팀은 평소에 7~8시간 정도 자는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5시간만 자는 토막잠을 연속 5일 동안 자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불과 5일 동안 실험에 참여한 건강한 사람들의 몸무게가 0.8kg 늘어났다. 수면 부족과 비만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짧게 자면 몸무게가 늘어나는 것일까? 연구팀은 실험 참여자들의 행동을 관찰했고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이 과자나 사탕 등 군것질거리에 자꾸 손을 대는 것을 확인했다. 잠을 못 잘수록 간식 섭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이다. 수면 부족은 활동하며 소비하는 에너지 대비 칼로리 섭취를 더 높이므로 몸무게가 증가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참여자들에..
여성의 옷 색깔이 남성에게 미치는 연구 A Study on the Color of Women's Clothes on Men 로체스터대학교 앤드루 엘리엇 교수 연구팀은 컴퓨터로 여성의 옷 샐 깔을 다양하게 바꿔 어떤 색깔의 옷이 남성에게 좀 더 매력적으로 보이는지 연구하였다. 그 결과 '빨강'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옷 대신 귀걸이나 헤어 액세서리, 여성의 뒷 배경을 빨간색으로 매치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비슷하게 높은 점수가 나왔다. 반면 여성의 경우 다른 여성이 빨간색 옷을 입고 있든 그렇지 않든 상대의 매력을 느끼는데 색깔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재미있는 연구결과 였지만 연구 결과 발표 당시, '빨강' 고유성에 의한 결과가 아니라 빨간색이 갖고 있는 문화적 상징과 인기에 따라 비롯된 결과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엘리..
거짓말을 막을 수 있는 방법 거짓말을 줄이기 위한 실험이 있었다. '거짓말하지 마세요!' 보다 '거짓말쟁이가 되지 마세요!'가 더 효과적인 이유가 재미있는 심리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브라이언 교수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거짓말쟁이가 되지 말라는 문구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거짓말을 하는 빈도를 낮춰준다는 것이다. 전자는 행위에 대해 포커스 되어 있으며 상대방의 행동을 제한하는 어감이 들어 반발감이 생긴다면 후자느 인격에 포커스 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의 정서를 동요시키고 행동의 변화를 야기하게 된다는 원리이다. 실험과정 1~10까지 열 개의 숫자 중에서 마음에 드는 1개의 숫자를 머릿속에 떠올려보자. 확률적으로 보자면 홀수와 짝수 모두 50%가 나와야 하는데 신기하게도 짝수보다 홀수를 선택한 사람이..
상대방의 호감을 얻는 확실한 방법 심리학 실험으로 검증된 상대방에게 호감을 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미국 국립위생연구소 동물센터의 포크너(paukner) 박사팀은 '꼬리 감는 원숭이(capuchin monkey) 따라하기 실험'을 통해 상대방으로부터 호감을 얻는 방법을 소개했다. 실험방법은 매우 간단한다. 꼬리 감는 원숭이의 동작을 흉내내는 사람에게 원숭이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관찰하는 것이다. 먼저 두 사람이 원숭이 앞에 공을 들고 선다. 두 사람 모두 일반적인 원숭이들의 몸짓을 한다. 공을 손으로 만지거나 손가락으로 톡톡 건드리거나 깨물어 보는 것 같은 행동을 한다. 그 중 한 사람은 일반 원숭이 흉내를 계속 내고 다른 한 사람은 원숭이의 행동에 맞추어 갖은 행동을 한다. 두 사람을 본 꼬리감는 원숭이는 자신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

반응형